🚀 2일차: 파이썬 데이터의 기본 재료! (다양한 자료형과 변수)
2025. 6. 11. 22:28ㆍ파이썬 챌린지
반응형
어제 파이썬을 시작할 준비를 마쳤다면, 오늘은 파이썬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다루는지 알아볼 거예요! 프로그래밍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사용하며, 파이썬은 이를 위한 여러 가지 자료형(Data Type)을 제공합니다.
1. 파이썬의 기본 자료형 🧱
파이썬에서 가장 기본적인 자료형 4가지에 대해 알아봅시다.
1.1. 정수 (Integer - int)
정수는 양수, 음수, 그리고 0을 포함하는 소수점이 없는 숫자를 의미합니다.
age = 30
count = -5
zero = 0
1.2. 실수 (Float - float)
실수는 소수점이 있는 숫자를 의미합니다.
pi = 3.14159
temperature = 25.5
price = -10.99
1.3. 문자열 (String - str)
문자열은 하나 이상의 문자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을 의미합니다. 작은따옴표(') 또는 큰따옴표(")로 묶어서 표현합니다.
name = "Alice"
message = 'Hello, World!'
city = "Seoul"
1.4. 불리언 (Boolean - bool)
불리언은 참(True) 또는 거짓(False) 두 가지 값만 가질 수 있는 자료형입니다. 조건문이나 논리 연산에 주로 사용됩니다.
is_student = True
has_permission = False
result = 5 > 3 # result는 True가 됩니다.
2. 변수 선언과 사용 🏷️
- *변수(Variable)**는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참조하기 위한 이름입니다. 마치 상자에 이름을 붙여서 물건을 보관하는 것과 같습니다. 파이썬에서는 변수를 선언할 때 자료형을 명시할 필요가 없습니다. 값을 할당하는 순간 변수의 자료형이 자동으로 결정됩니다.
변수 선언 및 값 할당 방법:
변수 선언 및 값 할당 방법:
변수 사용 예시:
# 정수형 변수
my_age = 25
print(my_age) # 출력: 25
# 실수형 변수
interest_rate = 0.05
print(interest_rate) # 출력: 0.05
# 문자열 변수
my_name = "Bob"
print(my_name) # 출력: Bob
# 불리언형 변수
is_adult = True
print(is_adult) # 출력: True
# 변수에 저장된 값을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my_age = 26
print(my_age) # 출력: 26
# 문자열 연결
greeting = "Hello, " + my_name
print(greeting) # 출력: Hello, Bob
3. 오늘의 핵심 정리 📝
- 파이썬은 정수(int), 실수(float), 문자열(str), 불리언(bool)과 같은 기본적인 자료형을 제공합니다.
-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참조하는 데 사용되며, 값을 할당하는 순간 자료형이 자동으로 결정됩니다.
내일은 파이썬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가공하고 연산하는지, 다양한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반응형
'파이썬 챌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3일차: 파이썬 연산자로 데이터 요리하기! 🍳 (1) | 2025.06.12 |
---|---|
🚀 1일차: 파이썬 세계에 발을 내딛다! (파이썬 소개 및 개발 환경 설정) (3) | 2025.06.11 |